
제목 : 기생충 (PARASITE, 2019)
개봉 : 2019년 5월 30일
감독 : 봉준호
출연 : 송강호(기택), 이선균(동익), 조여정(연교), 최우식(기우), 박소담(기정), 이정은(문광)
부와 권력에따라 서열화된 계급사회에 살고있는 우리들
주인공 기택과 그의 부인 그리고 아들과 딸 네가족은 모두 백수입니다. 이웃집 데이터로 휴대폰을 몰래 사용하다가 걸려 와이파이가 잡히는 곳을 찾아다니는 기우와 기정 남매만 봐도 어렵고 구질구질하게 살아가는 제정 상태를 알수 있습니다. 네가족이 모여서 피자박스를 접는 부업마저 제대로 잘 하지못해 컴플레인을 받고 보수를 다 받지 못합니다.
그렇게 팍팍한 삶을 사는 이 가족들의 삶을 180도 바꿔놓게 되는 일이 생기는데요. 바로 기우의 친구 역할로 나오는 박서준 배우때문입니다.
영화 기생충에서 명문대생으로 나오는 친구 박서준은 자신이 하고 있던 부자집 딸의 고액 과외를 기우에게 넘겨주고 아무일도 하고 있지 않던 고졸 출신 백수 기우는 이를 받아들입니다.
기우의 학벌을 속이기 위해 기정은 명문대 재학증명서를 PC방에서 위조하게 되고 가족들은 어차피 곧 명문대학에 입할할 것이니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같은 동네임에도 기우가 과외를 하러가는 언덕위 집들은 전혀 다른 분위기를 냅니다.
그렇게 기우는 박사장네 집에서 연교 사모님을 처음 만나고 그들의 딸의 과외를 시작하게되었습니다.
이후로는 기정이 해외파 미술학도로 속여 미술 과외 선생님으로, 아버지인 기택은 박사장의 운전 기사로 취업을 하게됩니다. 마지막으로는 가정부 문광을 결핵환자로 만들어 기택의 부인마저 동익과 연교의 부자집에서 일하게 되면서 기생을 시작하게 됩니다.
박동익 사장의 아들이 생일을 맞아 캠핑을 떠나는날 기택과 식구들은 제집인듯 동익의 집에서 비싼 술과 안주들을 꺼내놓고 먹고 마시며 파티를 합게되었습니다. 그때 기택의 가족들의 모략으로 쫒겨났던 전 가정부 문광이 찾아와 그녀의 남편이 지하 벙커에서 빌붙어 살고 있었던 것을 알게되고, 역으로 문광은 기택의 가족들도 역시 박사장의 집에서 빌붙어 살고 있었다는 증거를 담게됩니다.
몸싸움을 하던 도중 다치고 폭우로 인해 캠핑이 취소된 박사장과 가족들은 돌아와 다음날 못다했던 생일파티를 열게됩니다. 이후 기택은 도망자 신세가 되고 기우는 마지막에 말끔한 차림을하고 부동산 중개업자와 박사장의 집을 매입하러 보러온 사람이 되어있었습니다.
장르가 봉준호인 새로운 가족희비극 드라마
검색창에 영화이름을 검색해보면 나오는 장르들은 대부분 코미디, 로멘틱, 스릴러, 공포 이런식으로 이름이 붙어있습니다. 하지만 볼때마다 새롭고 장르를 딱히 뭐라고 말하기에도 어려운 말그대로 장르가 봉준호인 영화 기생충은 정말 다양한 해석과 리뷰를 찾아볼수 있습니다. 특정 해석이 정답이라고 할수없는 한국 내에서 역대 흥행 27위를 기옥한 작품으로 어찌보면 코로나시국 이전에 정말 대히트를 친 작품들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봉준호 감독의 봉테일이라는 별명은 정말 꼼꼼하고 세밀한걸로 팬들사이에도 유명해 지어진 별명이라고 하는데요. 가장 인상깊게 들은 일화로는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 박두만(송강호) 형사가 잠깐 펼치는 3초짜리 장면에서 다이어리 수첩조차 꼭 농협로고가 박힌 것이여야 했고 결국 그 소품을 찾아서 사용한게 인상적이였습니다. 일단 장르가 봉준호라면 믿고 볼수있는 영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 라는 봉준호 감독의 말은 많은 영화감독 뿐만아니라 작품을하는 작가들이나 예술인들의 가슴을 울리는 말이 아니였을까요? 영화평론가가 아닌 저이지만 블로그에 영화 감상평을 남기면서 이전에 봤던 봉준호감독의 영화들을 다시한번 찾아보고 그때의 감정들을 되새김질하는데 역시 봉준호감독이다 라고 생각해보게됩니다.
리뷰
안녕하세요. 유긍정입니다. 개인적으로 봉준호 감독의 영화들을 다 재미있게 본 많은 사람들중 하나인저도 처음에 기생충이라는 영화를 보고 대체 결말이 뭐지? 뭔가 이 찝찝하고 불쾌한 기분이 드는건 왜지? 이렇게 나자신에게 질문을 하곤했습니다.
하지만 그간 봉준호 감독의 영화평론과 해석들을보고 아 그 감독의 작품에는 어느하나 그냥 찍은 장면이 없지 하면서
다시한번 이영화는 대체 무슨말을 하고자했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자유 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에 살고있지만 아직도 존재하는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계급사회와 그곳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민 그리고 우리들의 삶을 가감없이 그려놓은 현실성 있는 작품이라고 느껴졌습니다.
우리 사회의 빈부격차에 대한 내용을 담은이야기 기생충은 말그대로 그 누군가에게 기생을 해서 먹고 살아가는 한가족을 통해서 결론적으로는 조금은 허황된 슬픈희망을 내비친것같았습니다.
사실 마지막에 기우가 박사장의 집을 보러온것을 보고 저는 아버지를 찾기위해 또다시 사기행각을 벌이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지하 단칸방에 살던 기택의 식구들이 아무리 좋은 대학을 진학하여 좋은 회사에 취업했다고 하더라도 로또에 당첨되지 않는한 저 대주택을 살수 있을까 라는 현실적인 의문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영화를 보는내내 지루한적은 한번도 없었고 짜파구리나 반전 그리고 다양한 시선과 해석을 마치 즐기는것 마냥 열린결말까지 심오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잘 써내려간 재미있으면서 소름끼치는 그리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잘 표현한것 같았습니다. 영화 리뷰를 적으면서 마지막에는 이 다음에 어떤 영화에 대한 감상평을 적어볼까 고민하는데 다음에는 봉준호 감독의 또다른 영화 옥자를 떠올렸습니다. 믿고보는 한국 최고의 영화감독 봉준호의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기생충 감상리뷰였습니다.
'유자매의 무비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한직업 (Extreme Job,2018) 줄거리 (0) | 2021.12.15 |
---|---|
옥자 (Okja) : 봉준호 감독의 영화 모험, 액션, 드라마 (0) | 2021.12.02 |
정직한 후보 (HONEST CANDIDATE, 2019) 라미란 주연 (0) | 2021.11.24 |
미녀는 괴로워 : 한국 로맨틱 코미디 (200 Pounds Beauty, 2006) (0) | 2021.11.23 |
랑종 : 태국, 공포 스릴러 (The Medium, 2021) (0) | 2021.11.22 |
댓글